생활하다보면 항상 어렵고도 헷갈리는게 바로 분리수거입니다.
과일을 먹고 난 후에 껍질, 씨앗을 음식물로 버려야 하는건지 매번 헷갈리는데요.
음식물쓰레기와 일반쓰레기 구분하는 방법에 대해서 총정리 해보겠습니다.
음식물쓰레기와 일반쓰레기 구분하는 '기준'
동물이 먹을 수 있는가?
음식물쓰레기는 이물질 제거와 가열 과정을 거친 후 동물들의 사료로 사용되기도 합니다.
따라서 동물이 먹을 수 없다면 음식물쓰레기로 버리면 안되겠죠.
동물이 먹을 수 있다면 음식물쓰레기로 배출하면 되고,
반대로 동물이 먹을 수 없다면 일반쓰레기로 배출하시면 됩니다.
알쏭달쏭 '음식물쓰레기'
- 연한 과일 껍질: 귤, 수박, 망고, 사과, 바나나 등 껍질
- 채소류: 통배추, 미역, 다시마, 통무, 통호박, 감자 껍질
- 곡물류: 쌀, 보리, 콩 등의 곡물
- 육류: 살코기, 내장, 비계
- 어패류: 생선 내장(단, 복어의 내장은 독성 때문에 일반쓰레기로 분류)
- 알: 알의 내용물(딱딱한 껍질 제외)
- 기타: 빵, 과자, 상한 음식, 곰팡이 핀 음식
동물이 먹을 수 있는 연한 과일의 껍질은 모두 음식물쓰레기로 버리면 됩니다.
특히 수박 껍질 같은 경우 많은 분들이 헷갈려하시는데 음식물쓰레기입니다.
묵은 쌀이나 곡류 또한 음식물쓰레기로 버려야 합니다. 사료나 퇴비 원료로 사용될 수 있다고 합니다.
살코기나 내장 등 단단하지 않은 음식물은 동물이 먹을 수 있기 때문에 음식물쓰레기로 배출하시면 됩니다.
예외적으로 복어의 내장은 독성 때문에 동물이 먹을 수 없어서 일반쓰레기로 분류해야 한다고 합니다.
빵이나 과자와 같이 단단하지 않고 먹을 수 있는 것들은 음식물쓰레기입니다.
상하거나 곰팡이 핀 음식도 음식물쓰레기로 배출해야 합니다.
이물질 제거와 가열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동물들의 사료로 사용할 수 있다고 하네요.
알쏭달쏭 '일반쓰레기'
- 딱딱한 과일/견과류 껍질: 파인애플, 코코넛, 땅콩, 호두, 밤 등의 껍질/껍데기
- 단단한 과일 씨앗: 복숭아, 살구, 감 등의 딱딱한 씨앗, 포도 줄기
- 채소류: 쪽파/대파 뿌리, 양파/마늘 껍질, 옥수수껍질, 옥수수대, 고추 씨
- 육류: 소, 돼지, 닭 등의 뼈
- 어패류: 조개, 굴, 소라, 가재, 꽃게 등의 갑각류 껍데기, 생선뼈, 생선 비늘, 생선 지느러미, 복어 내장
- 알: 달걀, 메추리알, 타조알 등의 껍데기
- 기타: 차 티백, 커피 찌꺼기, 고추장이나 된장, 젓갈류
동물이 먹을 수 없는 딱딱한 껍질 등은 일반쓰레기로 버리면 됩니다.
단단한 껍질이나 씨앗, 줄기, 뿌리, 육류 뼈, 갑각류 껍데기, 달걀 껍질 전부 일반쓰레기입니다.
특히 치킨 드시고 남은 뼈를 음식물쓰레기로 착각하시는 경우가 많은데 일반쓰레기로 배출하셔야 합니다.
차 티백의 찌꺼기, 커피찌꺼기 또한 일반쓰레기이며,
고추장, 된장 등의 장류도 염분이 많아서 동물이 먹을 수 없기 때문에 일반쓰레기로 버려야 합니다.
이상 일반쓰레기와 음식물쓰레기 구분 총정리였습니다.
포스팅하면서 저도 몰랐던 것들을 알게 되었네요.
헷갈릴때마다 인터넷 찾아보고 버리니까 좀 번거로운 경험이 있었어요.
괜히 잘못 버렸다가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으니 잘 알아보고 버려야겠어요.
환경을 생각하는 마음에서라도 우리 모두 올바른 생활습관을 가지도록 합시다!
(참고) 혼합 배출 과태료
- 1차: 10만원
- 2차: 20만원
- 3차: 30만원
'생활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 청년도약계좌 조건, 금리, 신청 기간 정리! 가입 시 유의사항은? (1) | 2024.02.07 |
---|---|
직접 사용해 본 앱테크 추천 어플 BEST 5 (12) | 2024.01.24 |
2023 달라진 연말정산 공제율 정리! 대중교통 소득공제율, 월세 세액공제율 변경 (20) | 2024.01.10 |
청년 버팀목 전세대출 HUG, HF 차이점 및 필수 서류! 무직자는? (6) | 2024.01.08 |
2024 기준 청년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 대상/한도/금리/우대 총정리! (8) | 2024.0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