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은 일반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과는 조금 다릅니다.
청년 전용으로 나온 대출 상품이라 만 19세 이상~만 34세 이하인 청년만 받을 수 있는 혜택입니다.
청년 전용 대출 상품은 금리가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죠.
다만 대출 조건이 까다롭기 때문에 잘 확인해보셔야 합니다.
청년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 대상
<대출 대상>
1) 주택임대차계약을 체결하고 임차보증금의 5% 이상을 지불한 자
2) 현재 만 19세 이상 ~ 만 34세 이하의 세대주(예비 세대주 포함)
3) 세대주를 포함한 세대원 전원 무주택자
4) 주택도시기금대출, 전세대출 및 주택담보대출 미이용자
5) 본인 및 배우자의 합산 총소득 5천만원 이하/다자녀가구 6천만원 이하/신혼가구 7.5천만원 이하
6) 본인 및 배우자의 합산 순자산 가액 3.45억원 이하(2024년도 기준)
7) 신용도 문제가 없는 자
8) 현재 공공임대주택에 거주하고 있지 않은 자
위 8개 항목의 대출 대상을 모두 만족해야만 대출이 가능합니다.
단 하나라도 결격사유가 있다면 대출이 불가능하므로 꼼꼼하게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참고로 '예비 세대주 포함'이기 때문에 세대원인 청년도 신청이 가능합니다.
세대원인 청년이 전세자금대출 신청을 하고, 대출+입주 후 해당 주택으로 전입하면 세대주 신분이 됩니다.
이 경우도 대출 대상에 해당하기 때문에 세대원이더라도 신청이 가능합니다.
대상 주택 및 한도
<대상 주택>
1. 임차 전용면적 85m² 이하 주택
(단, 만 25세 미만 단독세대주인 경우 60m² 이하 주택)
2. 임차 보증금 3억원 이하
위 2가지 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주택(주거용 오피스텔 포함)이어야 합니다.
<대출 한도>
2억원 이하
(단, 25세 미만 단독세대주인 경우 1.5억원 이하)
1) 신규계약: 보증금의 80% 이내
2) 갱신계약: 증액 후 총 보증금의 80% 이내
임차보증금 3억원 이하인 주택만 대출이 가능하며,
만약 보증금이 3억원이라면 2억원까지 대출이 가능합니다.
단, 25세 미만 단독세대주인 경우에는 1.5억원 이하까지 대출 가능합니다.
대출 금리 및 우대 금리
<대출 금리>
부부합산 연소득 | 임차보증금 |
3억원 이하 | |
~ 2천만원 이하 | 연 1.8% |
2천만원 초과 ~ 4천만원 이하 | 연 2.1% |
4천만원 초과 ~ 6천만원 이하 | 연 2.4% |
6천만원 초과 ~ 7.5천만원 이하 | 연 2.7% |
대출 금리는 변동금리이며 국토교통부가 고시하는 금리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금리는 소득 구간에 따라서 달라집니다. 합산 연소득이 3천만원 이하라면 연 2.1% 금리로 대출 받을 수 있습니다.
참고로 우대 금리 적용 후 최종 금리가 연 1.0% 미만인 경우에는 연 1.0%로 적용합니다.
우대 금리로 금리가 아무리 낮아진다고 하더라도 최소 1.0% 금리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우대 금리>
1) 연소득 4천만원 이하 기초생활수급권자•차상위계층: 연 1.0%p
2) 연소득 5천만원 이하 한부모가구: 연 1.0%p
3) 장애인•노인부양 •다문화 •고령자가구: 연 0.2%p
(중복 적용 불가)
<추가 우대 금리>
1) 주거안정 월세대출 성실납부자: 연 0.1%p
2) 부동산 전자계약 체결(2024.12.31. 신규 접수분까지): 연 0.1%p
3) 다자녀가구: 연 0.7%p / 2자녀가구: 연 0.5%p / 1자녀가구: 연 0.3%p
4) 청년가구(만 25세미만): 연 0.3%p
(중복 적용 가능)
신청시기 및 이용기간
<신청 시기>
* 임대차계약서상 잔금지급일과 주민등록등본상 전입일 중 빠른 날로부터 3개월 이내 신청
* 계약갱신의 경우 계샹갱신일로부터 3개월 이내 신청
<이용 기간>
2년(4회 연장, 최장 10년 가능)
청년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 대상, 조건, 금리 등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조건이 까다로운 만큼 저렴한 금리로 전세 대출을 받을 수 있는 상품이니까
청년이라면 꼼꼼하게 잘 알아보고 신청하시길 바랍니다.
청년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 보증 종류(HUG, HF)와
제출 서류에 대한 내용은 아래 포스팅을 참고해주세요!
https://dreamdarami.tistory.com/4
청년 버팀목 전세대출 HUG, HF 차이점 및 필수 서류! 무직자는?
저번 포스팅에서는 청년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의 조건, 한도, 금리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청년 버팀목 전세대출의 대출 종류는 HUG와 HF 두 가지입니다. 이 두 방식 중에서 한 가지를 선택해서
dreamdarami.tistory.com
'생활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 청년도약계좌 조건, 금리, 신청 기간 정리! 가입 시 유의사항은? (1) | 2024.02.07 |
---|---|
직접 사용해 본 앱테크 추천 어플 BEST 5 (12) | 2024.01.24 |
2023 달라진 연말정산 공제율 정리! 대중교통 소득공제율, 월세 세액공제율 변경 (20) | 2024.01.10 |
청년 버팀목 전세대출 HUG, HF 차이점 및 필수 서류! 무직자는? (6) | 2024.01.08 |
알쏭달쏭한 음식물쓰레기와 일반쓰레기 구분 총정리 (4) | 2023.12.28 |